시 낭송 잘하는 법

 

1. 시 낭송을 어려워하지 말자


시낭송에는 정도나 왕도가 없다.

단지 얼마나 나의 목소리로 상대방을 감동시키고 기쁨을 나눌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방법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스키를 즐기기 위해서는 스키 강사에게 스키 타는 방법을 배우고

여행을 즐겁고 유익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가이드(Guide)의 안내를 받으면

훨씬 도움이 되고 재미있는 여행이 된다.

 

학창시절 또는 단체 생활을 할 때 사회나 진행을 보는 등

주요한 업무를 맡아 앞에 자주 섰던 분들은

낭송이나 낭독을 하는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우선 무대 공포증이 없고 여유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니까 다른 사람보다 유리하다.

그러나 처음 시낭송을 한다고 겁먹거나 주눅들 이유는 없다.

아래의 내용은 필자 나름대로 생각한 것인데 한 번 낭송에 적용해보자.

 

첫째, 시낭송 사관학교(사랑.관심.학습.교육)생도가 되자


즉, 사랑. 관심. 학습. 교육의 과정을 거쳐 자기만의 노하우(Know-how)를 개발하면 된다.

그러기 위해서 시낭송을 열심히 청취해야 한다.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스마트폰에 녹음을 하여 시간이 될 때 수시로 들으면 좋다.

그러는 순간 시(詩)도 자연스럽게 암송이 되고 시에 대한 이해도 할 수 있다.

 

둘째, 천천히 또순이가 되자


좀 우스꽝스럽고 점잖지 않은 표현이지만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시를 낭송할 때 처음 하는 분들은 너무 빨리 낭송(낭독)을 하는 편이다.

천천히 하면 오히려 감흥이 있고 잘한다는 말을 들을 수 있는데 떨리기도 하고

모든 이가 나만 쳐다보는 듯하여 시선집중도 어렵고 몸 둘 바를 모르게 되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Rome was not built in a day)라고 한다.

그래서 천천히 하고 박또박(또랑또랑)하게 낭송하고 수한 마음으로 하되

색적으로 하려고 성을 쓰지 말고 도록이면 연스럽게 낭송하자.

 

셋째, 노자사상을 갖자


력하고 신감을 갖고 색을 하며 상을 자주하자

'노력이란 불기둥 앞에 녹지 않는 쇠붙이는 없다'라는 말이 있다.

꾸준히 노력을 할 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신감을 갖고 한 번 도전하는 것이다.

뱃속에서부터 잘한 사람이 있는가?

하다 보니 잘하고 이런 낭송단체에서 몇 년 생활하다 보니 익숙해진 것이다.

종종 시나 시낭송에 대한 생각도 하고 시낭송에 대한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한

상상도 하면 좋다.

 

위의 세 가지 이론을 갖고 도종환 시인의 담쟁이를 낭송한다고 생각해 보자.

대개 무대에 설 때는 인사를 안 하고 끝날 때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대회를 하는 단체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처음에 인사를 안 하는 것은 시간을 절약하거나 시에 몰입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처음과 끝에 인사를 했다고 해서 누가 뭐랄 사람은 없다.

단지 대회 규정을 잘 준수해야 한다.

무대에 서서 2초(속으로 하나, 둘, 셋, 넷)후에 낭송이나 낭독을 하면 된다.

 

담쟁이(하나, 둘, 셋, 넷) 

도종환 (도종환으로 붙여서 읽는다. 전에는 성과 이름을 띄웠으나 요즘은 붙인다)

그런 다음 약 3초(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후에 본문으로 들어가면 된다.

 

저것은 벽

어쩔 수 없는 벽이라고 우리가 느낄 때 .....

 

대략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첫 연, 첫 행, 첫 음절의 발음을 명료하게 해야 한다.

되도록이면 첫 행, 첫 음절은 분명하게 끊어서 낭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음에 청아하고 분명한 목소리가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결국 그 벽을 넘는다(마지막 행) 약 2초 후에

뒤로 한 발짝 옮겨 인사한 다음 자리로 들어오면 된다.

 

무대에 오를 때는 왼쪽으로 올라가서 오른쪽으로 내려오면 된다.

그러나 무대 환경에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한 방향으로만 오르내리는 경우도 있다.

마이크는 입과 3~5cm를 띄우는 게 이상적이고 대회마다 특징이 있는데

재능시낭송대회 때는 마이크를 뽑지 않고 한다.

그러니까 두 손을 갖고 적당히 제스처를 취해야 하는 것이다.

뻣뻣하거나 꼿꼿하게 하는 것보다 몸짓, 손짓, 표정이 동원되면

더욱 멋진 시낭송이 되지 않을까?

가수가 노래를 부를 때 온몸을 적당히 움직이면서 하지 않는가?

가사에 따라 표정관리, 몸짓, 제스처를 취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시의 분위기에 맞지 않거나 전반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제스처는 오히려 해가 된다.

대략 3회 이내로 제스처를 취하는 것이 좋다.

앞에서 언급했듯 시낭송에는 정도나 왕도가 없다.

나만의 특질(特質)을 찾아내야 한다. 그러면 훌륭한 시낭송가가 되리라 믿는다.

요즘 천편일률적인 시낭송을 한다는 지적이 많은데 주로 인터넷을 보고 연습하거나

똑같은 시낭송가에게 지도를 받아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가능한 한 여러 낭송가의 기법을 학습하여 자기 체질에 맞는 것을 찾아낸 후

나름대로 변형을 하여 개성 있게 낭송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필자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하였는데 사람마다 기법이나 생각이 조금씩 다르다.

그러니까 개인적으로 시낭송 이론도 공부하면서 나만의 특질(特質)을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담쟁이/도종환

                               

저것은 벽

어쩔 수 없는 벽이라고 우리가 느낄 때

그때

담쟁이는 말없이 그 벽을 오른다.

물 한 방울 없고 씨앗 한 톨 살아남을 수 없는

저것은 절망의 벽이라고 말할 때

담쟁이는 서두르지 않고 앞으로 나아간다

한 뼘이라도 꼭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 올라간다

푸르게 절망을 다 덮을 때까지

바로 그 절망을 잡고 놓지 않는다

저것은 넘을 수 없는 벽이라고 고개를 떨구고 있을 때

담쟁이잎 하나는 담쟁이잎 수천 개를 이끌고

결국 그 벽을 넘는다


2. 사자(4자)와 친해져라


낭송에는 왕도나 원칙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방법이나 기법은 있는 것이다.

낭송을 하는데 있어서 어떤 이는 이론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잘못 아는 것이고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론을 모르는 사람이 낭송을 잘할 수 있을까?

최소한 3:7 정도로 이론공부를 하면서 실기에 도전해야 한다.

나중에 시낭송 전문가가 되어 남을 가르치기 위해서도 필요하고 기본적인 것을 터득해야만 시낭송을 깊이 있게 알게 되는 것이다.

의사나 과학자들을 보면 알 것이다.

서재에 책이 많이 쌓여있다. 이론을 배우지 않고 어떻게 환자와 대화를 나누고 상담을 하며 수술을 할 수 있는가?

꼭 이론을 알고 시낭송에 도전하라.

이론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일수록 시낭송도 잘한다는 것을 명심하라.

기초부터 다지는 연습을 해야 좀 더 높은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인이 생각한 4자에 관한 이론을 피력하고자 한다.

사자(4자)는 자연스러움, 자신감, 자긍심, 자기화를 의미한다.

 

1). 자연스럽게 하자


시 낭송은 자연스러워야 한다. 시 이론가나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시낭송의 첫째 요소가 자연스러움이다. 이것이 배제된 시낭송은 아무런 호소력이나 감동, 감흥을 불러일으킬 수 없다.

비음(콧소리)을 내거나 우는 듯한 목소리는 시낭송에 있어서 상극이다. 시 퍼포먼스나 시극을 할 때는 어느 정도 통할 수 있으나 낭송대회에선 절대 금물이다.

자주 녹음을 하면서 자기의 목소리를 듣고 문제점을 파악해서 고쳐 나가야 한다.

보편적으로 지적을 해주면 싫어하는 고집 때문에 시낭송을 망쳐버리고 오랜 습관으로 굳어져 고치기가 어렵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2). 자신감을 갖자


시 낭송뿐만 아니라 모든 일에 있어서 자신감이 없으면 목표를 달성하거나 실적을 올리기가 어렵다. 특히 무대 앞에서 하는 시낭송대회는 심사위원 및 관중들을 크게 의식하지 않고 낭송할 정도의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무대경험이 많아야 하며 남 앞에 서는 기회를 자주 가져야 한다.

그래야만 표정도 살아나고 원숙한 시낭송을 할 수 있다.

바짝 긴장된 상태로 간신히 시를 암송하는 상태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시낭송대회 시 자신이 낭송하는 전체 동영상을 찍어달라고 부탁하고 본인의 모습을 보면 어떤 자세와 태도로 낭송했는지 알 수 있다.

암송은 I.Q이고 낭송은 E.Q라는 말의 의미를 헤아릴 줄 알아야 한다.

 

3). 자긍심을 갖자


시 낭송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소수의 사람만이 점유하는 특수영역은 아니다. 배우고 익히면 할 수 있지만 그렇게 녹록치 않은 장르(genre)라는 의미이다.

늘 자부심과 긍지를 갖고 최선의 노력을 경주했을 때 아름답고 청아한 시낭송이 되는 것이다.

"노력이란 불기둥 앞에 녹지 않는 쇠붙이는 없다"고 했다.

자신의 능력이나 자격을 십분 발휘하는 기회로 삼아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4). 자기화를 하자


시 낭송을 가르치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일정한 형태가 있다.

A라는 사람에게 배우면 10명이면 10명 똑같은 형태로 낭송을 한다. 그래서 처음에 어떤 시낭송가에게 배우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인터넷상에서 유명하다는 시인들의 시낭송을 자주 청취하되 그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라.

이 사람은 이렇게 낭송하는데 나는 이 부분을 조금 변형시켜서 낭송을 해야겠다 라는 생각을 갖고 해야 한다.

천편일률적으로 낭송을 해서는 좋은 결과를 결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의상에도 신경을 많이 쓰자. 한복을 굳이 고집할 이유가 없다. 캐주얼한 복장으로 해도 상관이 없는데 시적인 분위기와 어울리지도 않는 한복으로 치장을 하면 첫인상부터 점수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것이다.

 

5). 은근과 끈기의 결실

시 낭송은 하루아침에 곰삭은 듯한 맛이 나는 것이 아니다.

자주하여야 그 맛을 알게 되고 깊이를 발견하게 되어 있다.

첫 번에 시낭송가가 되거나 큰 상을 얻게 되면 자만하거나 자아도취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이거 별거 아니네, 한 번 도전하여 대상, 금상......

조금하니까 되네.

나도 충분히 남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이나 실력이 있어 하며 스스로 자가당착의 늪에 빠져 주변을 의식하지 않게 된다. 비단 시낭송뿐 아니라 일상의 모든 것이 너무 쉽게 획득한 것은 오래 가지 못하듯 시낭송도 마찬가지이다.


우연한 기회에 도전하여 큰 상을 거머쥐면 모든 게 내 세상처럼 보인다.

시낭송 대회 수상자를 살펴보는 동안 재미있고 의미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어찌보면 인생은 노력의 산물로 인내와 끈기로 일구는 삶의 여정이랄 수 있다.

1999년 전국 재능 시낭송대회에 출전하기 시작하여 계속 장려상만 받다가 드디어 8년 후인 2007년 시낭송 인증서를 획득한 분을 볼 수 있었다.

대개 2~3년 도전하다가 포기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러면서 심사위원을 원망을 하거나 남의 탓으로 돌리며 시간을 보내기 일쑤다.

그러나 000님은 목표달성을 위하여 끝까지 도전하는 자세를 견지한 결과 2007년 시낭송가 인증서를 획득했다.


얼마나 대견스럽고 가슴 찡한 일인가?

그야말로 “노력이란 불기둥 앞에 녹지 않는 쇠붙이는 없다.“ 라는 것을 여실히 증명한 쾌거이다.

실패와 좌절 절망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포기이다.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열정을 갖도 도전할 때 인생도 성공할 수 있고 시낭송가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하리라 믿는다.

대체적으로 대상, 금상을 받은 분보다는 은상, 동상을 받은 분들이 더욱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낭송 활동을 펼치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나름대로 생각해 보건대 대상을 받은 분들은 내 시낭송이 여러 사람에게 퍼져 나갔을 때 시낭송 대회의 대상감으로써 역할을 했는가 라는 두려움이 있을 수 있고,

이 정도에서 멈추고 다른 일에 매진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어쨌거나 시낭송은 자신을 위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예술적인 행위이기에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노력으로 시낭송의 지평을 일구어야 한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할 수 없는 시낭송이기에 그 깊은 뜻과 오묘한 맛이 있는 것이다.

더욱 정진하여 아름다운 소리가 전국에 퍼질 수 있도록 노력하면 어떨까?


3. 시 낭송의 3다(3多)를 생각하자


시를 잘 쓰기 위한 방법으로 제일 먼저 하는 말이 있다.

글쓰기의 진리처럼 여겨지는 것이 소위 3다(3多) 라고 한다.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想量)으로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상상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낭송를 잘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와 비슷한 방법은 없을까?

필자는 나름대로 34다를 제안하는 바이다.

시 낭송을 잘하기 위한 3다라 함은 다청(多聽), 다송(多誦), 다립(多立)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많이 듣고 많이 외며 많이 서 보는 것이다.


첫째, 많이 듣는다.


인터넷에는 수많은 낭송시들이 산재해 있다. 다양한 계층의 낭송시가 있는데 취사선택을 잘해야 한다. 가능한한 전문 낭송가들의 시낭송을 청취하면서 시낭송 기법을 익히는 것이 좋다. 주의할 점은 대회 때 하는 낭송처럼 녹음이 되어 있지 않고 듣기 편하고 자연스럽게 녹음되어 있기 때문에 시낭송은 이렇게 한다 라고 생각하면 막상 대회에 나가서는 당황하거나 실패할 수 있다. 시낭송을 배울 때에는 전문 낭송가에게 직접 대면을 하고 배우는 것이 효과적이고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때로는 전화로 낭송을 배울 수도 있지만 한계성이 있다.


둘째, 많이 외운다.


시 낭송은 외우지 않고는 안 된다, 짧은 시건 긴 시건 암송을 해야만 되는 것이다. 자주 듣다보면 쉽게 외울 수 있다. 외울 때는 나름대로 방법이 있다, 우선 시의 핵심어(key words)를 선정한다, 선정이 끝나면 단어를 나열한 다음 차츰차츰 조합해 가는 것이다.

그런 다음 연상법을 동원하는 것이다. 시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머릿속에 그리는 것이다. 그러면 시의 내용 전체를 파악할 수 있고 암송하는데 퍽 도움이 된다.


셋째, 많이 서 보는 것이다.


많은 행사에 참여하고 무대에 자주 서 보면 자신감이 생긴다. 무대 공포증이나 무대 울렁증이 있는 분들도 삼십 번 이상 무대에 서 보면 자연스럽게 말이 나오고 제스처가 나오게 되어 있다. 처음부터 떨리지 않고 당당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타고난 강심장이 아니라면 누구나 앞에서 떨리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단지 무대를 멀리하고 앞에 나서는 것을 회피하면 점점 더 무대 공포증이나 울렁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처럼 다청(多聽), 다송(多誦), 다립(多立)을 생활화한다면 시낭송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시 쓰기에 있어 삼다(3多: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기)가 있듯 시낭송에도 삼다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청(多聽), 다송(多誦), 다립(多立)이 그것이다.

즉, 많이 듣고 많이 외며 많이 참여할 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구양수 : 송나라의 유명한 문인으로 글을 잘 쓰는 방법으로 다독, 다작, 다상량을 제창했다.

 

No passion, no gain

♣ 노력 없이 쓰인 글은 대개 감흥 없이 읽힌다. (사무엘 존슨)

What is written without effort is in general read without pleasure. (Samuel Johnson)

♣ 탁월하다는 것은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탁월해지기 위해,

이를 발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

With regard to excellence, it is not enough to know,

but we must try to have and use it. (Aristoteles)

♣ 신은 우리가 성공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우리가 노력할 것을 요구할 뿐이다.

   (마더 테레사)

God doesn't require us to succeed; he only requires that you try. (Mother Teresa)

♣ 성공은 열심히 노력하며 기다리는 사람에게 찾아온다. (토마스 A. 에디슨)

Everything comes to him who hustles while he waits. (Thomas A. Edison)


4. 시 낭송 십계명


시 낭송에 관한 십계명을 생각하며 낭송하자.


1. 시와 시 낭송을 사랑하자(다애<多愛>)

 

2. 시 낭송을 자주 듣자(다청<多聽>)

 

3. 시 낭송을 열심히 배고 외우자(다학 및 다송<多學 및 多誦>)

 

4. 가성이나 비음으로 낭송하지 말자(자연스럽게<自然스러움>)

 

5. 무대의 주인공이 되자(주인공<主人公>)

 

6. 아름다운 동행을 하자(같이의 가치<價値>)

 

7. 시 낭송 재능기부를 자주 하자(동행과 상생<相生>)

 

8. 낭송대회에 자주 참여하자(참여의 중요성<多參 및 多立>)

 

9. 자신만의 노하우를 계발하자(자신의 특질 발굴<發屈>)

 

10. 시 낭송을 일상화하자(시낭송 생활화<生活化>)


5. 시 낭송의 333 전략


첫째, 3번 이상 필사를 하라


시가 선정 되면 3번 이상 필사(筆寫,책이나 문서 따위를 베끼어 씀)를 하여 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시를 쓰면서 대략적으로 외우는 습관을 들인다.

3번이 많은 횟수가 아니다. 시를 완벽하게 외우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으니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둘째, 30번 이상 묵독을 하라


필사가 끝나면 30번 이상 묵독(黙讀)을 한다.

소리 내지 않고 계속 읽는 연습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어떤 일에도 은근과 끈기가 필요하듯 시낭송에서도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계속 읽다보면 내용이 머릿속에 들어오고 서서히 암송할 상태가 된다.

 

셋째, 300번 이상 낭송을 하라


그런 후 300번 이상 소리 내어 낭송을 한다.

조용한 공원이나 산과 들을 이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시 낭송 대회를 앞둔 낭송자라면 무대를 찾아 낭송 연습을 해 보는 것이 무대 경험을 살리고 무대 공포증이나 울렁증을 예방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시낭송대회에 나가는 낭송자들은 각고의 노력과 정성을 들여야 한다.

어찌 보면 300번은 최소한의 횟수일 수 있다.

어떤 이는 시낭송대회를 위하여 3,000번 이상 낭송연습을 한 후 무대에 섰다고 한다.

하루에 30회씩 연습을 한다면 약 3~4개월이면 3,000번을 할 수 있다.

모든 것이 노력이나 열정 없이 성취될 수 없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특히 시낭송의 9가지 요소인 <고, 저, 장, 단, 강, 약, 완, 급, 쉼> 및 <발성, 발음, 호흡>에 대하여 꾸준히 학습하고 노력하며 실제 연습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시낭송을 하는 비결이라고 할 수 있다.

(No passion, no gain)

                             


노래여 노래여 / 이근배 / 낭송: 신승희



출처 : http://cafe.daum.net/www.koreapoem.club/Hlgr/84




블로그 이미지

셀믹

소리의 기록을 남기는 셀믹 ( 셀프마이크 ) . 좋은 소리 만드는 법, 소리 기록하는 법, 소리 꾸미는 법 등에 대한 좋은 정보와 기록을 공유하는 블로그. 노래부르기, 시낭송, 발표하기, 책읽어주기 등

,